
서울의 한 재건축 공사 현장 모습 ⓒhankyung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제(재초환)를 둘러싼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완화 또는 폐지 방안이 추진됐지만, 최근 정치적 변수로 인해 관련 제도 개편 논의가 표류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조합원들에게 거액의 부담금이 부과되며, 시장 내 불안과 반발이 동시에 확산되는 상황입니다.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제란 무엇인가?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제는 재건축을 통해 얻는 초과이익 중 일정 금액을 정부가 부담금 형태로 환수하는 제도입니다. 2006년 도입된 이 제도는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고 개발이익의 공공환원을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특히 문재인 정부 당시 규제가 강화됐습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완화 또는 폐지를 공약으로 내세우며 제도 개편을 예고한 바 있습니다.
고액 부담금에 ‘체납·소송’ 움직임
최근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는 1인당 수천만 원에서 1억 원에 달하는 재건축초과이익 부담금이 부과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조합원들의 반발이 심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체납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법적 다툼 가능성도 커지고 있고, 단체 소송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조합원들은 제도 변경을 기대했으나, 정책 표류로 인해 실질적 부담만 커진 셈입니다.
정부 입장과 제도의 불확실성
국토교통부는 부담금 체납 시 압류 등의 조치를 예고했으나, 제도 자체에 대한 개선 혹은 폐지 논의는 정치적 영향으로 지연되고 있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논의와 정치권의 균형 변화는 재건축 규제 완화 정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분간 정책 혼선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제를 둘러싼 논란은 단순한 조세 부담을 넘어, 재건축 추진 동력과 부동산 시장 전반에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정부는 조합원 부담 완화와 제도의 형평성, 지속 가능성을 모두 고려한 제도 개선 방향을 조속히 제시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책 신뢰 회복이 시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