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하이퍼리치 로고

하이퍼리치

경제 전문 미디어

Primary Menu
  • 경제
    • 경제동향
    • 경제정책
    • 경제지표
    • 경제일반
  • 산업
    • 기업·경영
    • 자동차·배터리
    • 조선·해운
    • 철강·화학
    • 건설·기계
    • 로봇·AI
    • 통신
  • 금융
    • 금융정책
    • 은행보험
    • 자산관리
    • 은퇴관리
  • 증권
    • 국내증시
    • 해외증시
    • 가상화폐
    • 종목분석
    • 코인분석
  • 부동산
    • 시장동향
    • 부동산정책
    • 재건축·재개발
    • 분양정보
    • 경매정보
  • 클래스
  • 랩스
  • Home
  • 경제
  • 경제지표
  • 2월 생산자물가지수 보합, 사과·귤·오징어 값 급등
  • 경제지표

2월 생산자물가지수 보합, 사과·귤·오징어 값 급등

농림수산품은 절화류 35.6%, 피망 34.6%, 풋고추 30%, 양배추 20.8%, 물오징어 20.5%, 사과 20.4%, 감 18.9%, 감귤 14.7%, 산나물 13.3%, 가자미 10.8% 상승하여 상위 10개 품목에 해당되었습니다.
하이퍼리치 2025-03-25
고객이 진열대에 쌓여있는 사과를 들어 살피고 있다.

생산자물가지수 사과

Table of Contents

Toggle
  • 생산자물가지수
    • 기본분류지수
    • 특수분류지수
  • 국내공급물가지수
  • 총산출물가지수
  • 생산자물가지수 주요 등락 품목
    • 농림수산품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 공산품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 서비스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지난 21일 한국은행에서 2025년 2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를 발표했습니다. 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0.33(2020=100)로 전월(120.27)과 큰 변동없이 보합세를 보였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2024년 10월(119.01)부터 4개월 연속 상승했지만 2월에는 상승폭이 줄어들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

기본분류지수

농림수산품은 농산물(3.6%) 및 수산물 (1.0%)이 올라 전월대비 0.4% 상승했고, 공산품은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0.7%) 등이 내렸으나 화학제품(0.3%) 등은 올라 전월대비 보합을 보였습니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은 하수처리(0.5%) 등이 올랐으나 산업용도시가스(-1.4%) 등은 내려 전월대비 보합을 보였으며, 서비스는 운송서비스(-0.1%) 등이 내렸으나 부동산서비스(0.2%) 등은 올라 전월대비 보합을 보였습니다.

구분가중치2024년 12월2025년 01월2025년 02월
총지수1000.0119.52120.27120.33
0.40.60.0
농림수산품29.5113.91118.90119.34
2.84.40.4
광산품2.0129.41130.10130.41
0.20.50.2
공산품489.7123.39124.24124.30
0.40.70.0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82.3150.93150.91150.87
0.40.00.0
서비스396.5110.97111.42111.47
0.10.40.0
생산자물가지수 – 기본분류지수 및 전월비 등락률(%), ⓒ한국은행

특수분류지수

식료품은 120.92로 전월 120.64대비 0.2% 상승했고, 신선식품은 132.42로 전월 127.47대비 3.9% 상승했습니다. 에너비는 전월 172.04대비 0.1% 하락했고, IT는 106.71로 전월 106.96대비 0.2% 하락했습니다. 식료품및에너지이외는 전월대비 보합을 유지했습니다.

구분가중치2024년 12월2025년 01월2025년 02월
총지수1000.0119.52120.27120.33
0.40.60.0
식료품67.1118.17120.64120.92
1.22.10.2
식료품이외932.9119.62120.24120.29
0.30.50.0
신선식품12.2115.24127.47132.42
2.610.63.9
신선식품이외987.8119.58120.19120.18
0.30.50.0
에너지89.4170.20172.04171.87
1.11.1-0.1
에너지이외910.6116.02116.70116.77
0.30.60.1
IT106.5106.11106.96106.71
0.60.8-0.2
IT이외893.5121.14121.88121.98
0.30.60.1
식료품에너지이외843.5115.85116.39116.44
0.20.50.0
신선식품에너지이외898.4116.03116.55116.56
0.30.40.0
생산자물가지수 – 특수분류지수 및 전월비 등락률(%), ⓒ한국은행

국내공급물가지수

국내공급물가지수는 물가 변동의 파급과정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에 공급(국내출하 및 수입)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원재료, 중간재, 최종재의 생산단계별로 구분하여 측정한 지수입니다.

2025년 2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125.97로 전월 125.75대비 0.2% 상승하였습니다.(전년동월대비 2.4% 상승) 원재로는 국내출하가 0.1% 하락했으나 수입은 3.0% 올라 전월대비 2.4% 상승하였습니다. 중간재는 전월대비 보합세를 유지했고, 최종재는 전월대비 0.2% 하락하였습니다.

구분가중치2024년 12월2025년 01월2025년 02월
총지수1000.0124.96125.75125.97
0.70.60.2
원재료87.8168.57170.10174.22
1.80.92.4
– 원재료국내17.0116.09119.69119.53
2.73.1-0.1
– 원재료수입70.8183.57184.29189.90
1.50.43.0
중간재612.6125.20125.96126.01
0.50.60.0
– 중간재국내505.6122.41123.08123.16
0.30.50.1
– 중간재수입107.0139.91141.20141.10
1.60.9-0.1
최종재299.6115.65116.31116.09
0.70.6-0.2
– 최종재국내243.6115.62116.35116.38
0.30.60.0
– 최종재수입56.0115.27115.63114.30
2.30.3-1.2
– 최종재자본재76.4114.23114.73114.29
1.00.4-0.4
– 최종재소비재94.2118.78119.75119.24
1.10.8-0.4
– 최종재서비스129.1113.46113.98114.12
0.20.50.1
국내공급물가지수 및 전월비 등락률(%), ⓒ한국은행

총산출물가지수

국내생산품의 전반적인 가격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출하 외에 수출을 포함하는 총산출 기준으로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2025년 02월 총산출물가지수는 123.81로 전월 124.02대비 0.2% 하락하였습니다. 농림수산품이 0.3% 상승하였지만 공산품이 전월대비 0.3%하락하였습니다.

구분가중치20204년 12월2025년 01월2025년 02월
총지수1000.0123.07124.02123.81
0.80.8-0.2
– 총지수국내781.2119.52120.27120.33
0.40.60.0
– 총지수수출218.8135.51137.26135.93
2.21.3-1.0
농림수산품23.8113.84118.67119.03
2.84.20.3
– 농림수산품국내23.0113.90118.88119.33
2.84.40.4
– 농림수산품수출0.8111.90112.02109.86
2.40.1-1.9
광산품1.6129.44130.13130.44
0.20.50.2
공산품600.5127.89129.05128.63
1.00.9-0.3
– 공산품국내382.5123.39124.24124.30
0.40.70.0
– 공산품수출218.0135.60137.36136.02
2.21.3-1.0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64.3150.93150.91150.87
0.40.00.0
서비스309.8110.95111.40111.45
0.10.40.0
총산출물가지수 및 전월비 등락률(%), ⓒ한국은행

생산자물가지수 주요 등락 품목

농림수산품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농림수산품은 절화류 35.6%, 피망 34.6%, 풋고추 30%, 양배추 20.8%, 물오징어 20.5%, 사과 20.4%, 감 18.9%, 감귤 14.7%, 산나물 13.3%, 가자미 10.8% 상승하여 상위 10개 품목에 해당되었습니다.

구분가중치2024년 12월2025년 01월2025년 02월
절화류0.129.7-20.735.6
피망0.1-2649.134.6
풋고추0.1-14.230.130
양배추0.1-12.834.120.8
물오징어0.5-28.17.220.5
사과0.78.17.720.4
감0.115.3-3.518.9
감귤0.822.626.514.7
산나물0.111.835.913.3
가자미0.161.9-16.810.8
생산자물가지수 농림수산품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등락률(%), ⓒ한국은행

공산품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공산품 중 지수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품목은 화학펄프 13.3%, 스타터모터 11.4%, 폴리에스터수지 7.8%, 제트유 6.9%, 아스팔트 6.7%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구분가중치2024년 12월2025년 01월2025년 02월
화학펄프0.12.9-2.313.3
스타터모터0.62.91.511.4
폴리에스터수지0.202.57.8
제트유0.94.10.96.9
아스팔트0.40.12.26.7
아이스크림0.62.206.5
금괴1.12.646.2
주물주조기계0.4005.3
벙커C유2.70.7-0.75.2
은괴0.10.71.25.2
생산자물가지수 공산품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등락률(%), ⓒ한국은행

서비스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서비스 항목 중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품목은 주거용부동산관리 3.4%, 자동차임대 3.4%, 잡지및정기간행물 3.3%, 위탁매매수수료 2.9%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구분가중치2024년 12월2025년 01월2025년 02월
주거용부동산관리3.30.7-0.23.4
자동차임대4.1003.4
잡지및정기간행물0.51.7-0.43.3
위탁매매수수료6.1-2.42.62.9
외항화물0.1-0.9-11.5
비알콜음료점6.2001.4
국내항공여객0.12.24.31.3
제과점3.32.50.31.3
가정용세탁0.90.10.41.2
일식2.60.50.50.6
생산자물가지수 서비스 상승률 상위 10개 품목 등락률(%), ⓒ한국은행

Continue Reading

Previous: 소비자물가지수(CPI)란?
Next: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의 위기 속 ‘한방’

Recent Posts

  • 장기 고정금리 주담대 확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최상목 부총리, 추가경정예산 과도한 증액 경계…대외신인도 우려
  •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태에 전면 무상 교체 실시
  • 경기 대응 실패…금리 인하·추경 시기 놓쳐
  • 산업용 전기요금 급등에 대기업 ‘전기 직구’ 확산

Recent Comments

보여줄 댓글 없음.

Archives

  • 2025년 4월
  • 2025년 3월

Categories

  • 가상화폐
  • 건설·기계
  • 경제동향
  • 경제일반
  • 경제정책
  • 경제지표
  • 국내증시
  • 금융정책
  • 기업·경영
  • 로봇·AI
  • 부동산정책
  • 시장동향
  • 은퇴관리
  • 은행보험
  • 자동차·배터리
  • 자산관리
  • 재건축·재개발
  • 조선·해운
  • 철강·화학
  • 통신
  • 해외증시

You may have missed

남성이 동전을 쌓고 있다 ⓒunsplash
  • 금융정책

장기 고정금리 주담대 확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하이퍼리치 2025-04-28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yna
  • 경제정책

최상목 부총리, 추가경정예산 과도한 증액 경계…대외신인도 우려

하이퍼리치 2025-04-28
유영상 SK텔레콤 CEO ⓒsktelecom
  • 통신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태에 전면 무상 교체 실시

하이퍼리치 2025-04-25
서울역 야간 전경 ⓒunsplash
  • 경제정책

경기 대응 실패…금리 인하·추경 시기 놓쳐

하이퍼리치 2025-04-24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 | MoreNews by AF 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