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아이오닉5 생산라인 ⓒ현대자동차
생산자물가지수(PPI: Producer Price Index)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물가지수 중 하나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생산자가 국내 시장에서 출하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여 지수화한 것으로 매월 한국은행에서 작성하여 공표하고 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란 무엇인가?
생산자물가지수는 명목금액을 실질금액으로 환산해주는 디플레이터 용도뿐만 아니라 경기동향을 판단하는 지표로도 이용됩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1910년부터 편제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통계 중 하나로 1991년 도매물가지수란 이름으로 발표되다 1990=100 기준지수부터 명칭을 생산자물가지수로 변경했습니다. 1995=100 기준지수부터는 경제의 서비스화 진전에 부응하여 운수, 통신, 금융, 부동산 등의 기업용서비스를 포함하였고, 2010=100 기준지수부터는 음식점, 교육, 문화·오락 등 일부 개인서비스도 추가되었습니다.

생산자물가지수의 조사대상품목은 국내출하액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비중을 갖고 동종 제품군의 가격변동을 대표할 수 있는 품목으로 2023년 기준 849개(상품 789개, 서비스 105개) 품목입니다. 이와 같이 선정된 품목들을 이용하여 산업별로 기본분류지수를 산출하여 특수분류지수(식료품과 식료품이외, 신선식품과 신선식품이외, 에너지와 에너지이외, IT와 IT이외, 식료품 및 에너지이외, 신선식품 및 에너지이외)도 함께 작성하고 있습니다.
국내공급물가지수와 총산출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와 함께 공표되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생산자물가지수와 수입물가지수를 결합하여 국내시장에 공급되는 상품 및 서비스의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측정하여 지수화한 것입니다.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생산단계별, 즉 원재료, 중간재 및 최종재로 지수가 구분되기 때문에 물가변동의 파급과정을 파악하는 데 용이합니다.
총산출물가지수는 국내 생산품의 전반적인 가격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생산자물가지수와 수출물가지수를 결합하여 국내출하 외에 수출을 포함하는 총산출 기준으로 가격 수준을 측정하여 지수화한 것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차이
소비자물가지수는 상품 부문에 소비재만을 포함하는 반면 생산자물가지수는 소비재는 물론 자본재도 포함하고 생산과정에서 단계적으로 투입되는 원재료 및 중간재까지 포함합니다. 서비스 부문의 경우 소비자물가지수는 개인서비스만을 포함하지만 생산자물가지수는 주로 기업용서비스를 포함하여 일부 개인서비스도 포함합니다.
또한 생산자물가지수는 가격변동이 심한 원재료, 중간재 및 자본재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소비자물가지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변동성을 보입니다. 조사가격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소비자물가지수는 부가가치세 등을 포함하여 소비자가 실제로 지불하는 소비자가격을 조사하는 반면, 생산자물가지수는 생산자가 제품 한 단위당 실제로 수취하는 기초가격을 조사하는 것이 차이입니다.
자료출처: 한국은행 https://www.bok.or.kr/